본문 바로가기
역사

조선 3대왕 - 태종 이방원

by 최시돈 2023. 5. 18.
728x90
SMALL

 

 역사를 알고 나를 알다!!!.

 

-----------------------------------------------------------------------------------------------------------------------------------------------------------------

 

조선 제3대 왕(재위 1400∼1418). 아버지 이성계 휘하에서 구세력 제거에 큰 역할을 하였으나 세자책봉에 불만을 품고 정도전 등을 살해하는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 즉위 후, 의정부(), 삼군도총제부()를 설치하는 등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을 강화하였고 최고의 법사()인 의금부()를 설치하였다.

출생-사망국적/왕조재위기간본명별칭활동분야
1367 ~ 1422
조선
1400년 ~ 1418년
방원()
유덕()
정치

조선의 제3대 왕으로, 태조의 다섯째 아들로 출생하였다. 자()는 유덕(), ()는 방원()이다. 어머니는 신의왕후() 한씨()이고, 비는 민제()의 딸 원경왕후()이다. 

1383년(우왕 9) 문과에 급제하여 밀직사대언()이 되고, 후에 아버지 이성계() 휘하에서 신진정객()들을 포섭하여 구세력의 제거에 큰 역할을 하였다. 1388년 정조사(使)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오고, 1392년(공양왕 4) 정몽주()를 제거하여 이성계를 중심으로 한 신진 세력의 기반을 굳혔으며, 같은 해 이성계가 조선의 태조로서 등극()하자 정안군()에 봉해졌다. 태조가 이모제() 방석()을 세자로 책봉하자 이에 불만을 품고 1398년(태조 7) 중신() 정도전() ·남은() 등을 살해하고, 이어 강씨 소생의 방석 ·방번()을 귀양보내기로 하고, 도중에 죽여 버렸다. 이것을 제1차 왕자의난이라 하며 방원은 이때 세자로 추대되었으나 이를 동복형()인 방과(:)에게 사양하였다.

1400년(정종 2) 넷째 형인 방간()이 박포()와 공모하여 방원 일당을 제거하려 하자, 이를 즉시 평정하고 세자에 책봉되었다. 방간·박포의 난을 제2차 왕자의 난이라 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당시 대신들 가운데 일부가 동모제()를 세자로 삼은 전례가 없다며 왕태제()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정종은 동생을 아들로 삼겠다며 왕세자()로 책봉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그해 11월 정종에게서 양위()를 받아 조선 제3대 왕으로 즉위하였다.

즉위하자 사병을 혁파()하고 1400년 문하부()를 폐지하였으며 의정부()를 설치하였다. 또 낭사()는 사간원()으로 분립시켰으며, 삼사()는 사평부()로 개칭하고 삼군도총제부()를 신설하였으며, 1405년 1월에는 의정부의 서무()를 육조()에서 분장()하게 하는 등, 관제개혁을 통하여 왕권의 강화를 도모하였다.

한편 억불숭유() 정책을 강화하여 전국의 많은 사찰()을 폐쇄한 후, 그 사찰에 소속되었던 토지 ·노비를 몰수하였으며, 또 비기() ·도참()의 사상을 엄금하여 미신타파에 힘썼다. 한편 호패법()을 실시하여 양반 ·관리에서 농민에 이르기까지 국민 모두가 이를 소지하게 함으로써 인적 자원()을 정확하게 파악하였으며, 개가()한 자의 자손은 등용을 금지하여 적서()의 차별을 강요하였다.

국방정책으로서 10년 여진족의 일파인 모련위() 파아손()의 무리를 죽였고, 노략질이 심한 야인(:여진인)들을 회유하여 변방의 안정에도 힘을 기울였다. 또 문화정책으로서 주자소()를 세워 1403년(태종 3) 동활자()인 계미자()를 만들었으며, 하륜() 등에게 《동국사략()》 《고려사()》 등을 편찬하게 하였다. 경제정책으로서 호포()를 폐지하여 백성의 부담을 덜어 주었고, 저화()를 발행하여 경제유통이 잘 되도록 유의하였다. 1402년(태종 2) 상하 국민의 남소() ·월소()를 엄금하였고, 백성들의 억울한 사정을 풀어주기 위하여 신문고()를 설치하였는데, 그 뜻은 매우 좋은 것이었으나 뚜렷한 실효는 거두지 못하였다. 고려 말기의 순군제도()를 여러 차례 개편하여 최고의 법사()인 의금부()를 설치하였는데, 이것은 국왕 직속의 근위대()로서 역모()를 방지하는 기관이었다.

728x90


1405년 송도()에서 한성()으로 천도하였으며, 1418년 세자(:)에게 선위()하고 상왕()으로서 국정을 감독하였다.

태종의 능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에 있는 헌릉()이며 사적 제194호로 지정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태종 [太宗]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728x90
LIST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4대 왕 - 세종 대왕!!  (1) 2023.05.18
조선 2대왕 - 정종  (1) 2023.05.16
태조 이성계 (1대 1392-1398)  (1) 2023.04.16